- 한의학 정보
- Korean Medicine Information
한의약상담FAQ
- 한의학 정보
- 한의약상담FAQ
|
|
---|---|
“대장암 환자 수술후 장 마비에 사마탕(四磨湯)과 전침 치료 효과적” 바로가기 http://www.nature.com/articles/srep37826 복강경이나 개복 수술후 장 마비와 장 유착은 수술후 환자들의 회복을 늦추고 지속적인 의료 이용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합병증중의 하나다. 국가적으로도 의료비용을 증가시키고 의료자원의 효과적 이용을 저해하는 원인이어서 이에 대한 효과적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2000년 이래 위장관내 모틸린 분비 촉진 및 장관점막 자극작용을 통해 장관 운동 및 혈류 촉진 작용을 가지고 있는 대건중탕(大建中湯)을 통해 수술후 장 마비와 장 유착을 해소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중국 연구진은 사마탕(四磨湯)과 전침 치료가 수술후 장 마비를 개선할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590명의 대장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한약+침 치료의 수술후 한의치료,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껌 씹기, 그리고 단순 경과관찰의 3개군으로 무작위배정하여 이들의 복통 및 오심, 위장관 운동, 재원일수 등을 관찰했다. 그 결과, 복통 및 오심증상의 유의미한 개선과 함께, 복합한의치료 시행군에서 장 운동개선과 그에 따른 첫 배변까지 시간은 크게 단축되었으며, 재원일수 역시 감소시킬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의치료의 효과는 복강경 수술 및 개복수술에 관계없이 관찰되었다. 다만 중증합병증 예방면에서는 3개군간 차이가 없어, 효과가 확인되지는 않았다. 사마탕은 장관의 무스카린 수용체 등을 통해 nitric oxide방출을 유발하고,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억제하여 위장관평활근의 수축을 유도, 수술후 장관의 운동성 저하를 개선할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침 치료는 자침 부위에 따라 위장관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항진시킬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건중탕과 사마탕의 본초 조성과 약리 작용이 서로 다른만큼, 향후 이들 처방의 합방 등을 통한 임상시험을 통해 상승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보인다. |
이전글 |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항암요법 부작용, 침 치료 효과적” |
다음글 | “생리통에 뜸 치료, 부작용은 적고 장기효과 뛰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