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설명자료] 광복 80주년, 이젠 의료계에도 바른 용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 날짜 : 2025-08-13 (수) 14:07l
  • 조회 : 52
첨부파일

 

 

광복 80주년그러나 아직도


보건의료계에 남아있는 일제의 잔재들


의사(醫師)’- ‘의료계(醫療界)’라는 명칭은


양의사들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2025광복 8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80년전 우리는 마침내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나 독립을 쟁취하고 주권을 회복했다는 기쁨에 감격했습니다하지만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의 보건의료계에는 아직도 일제의 잔재가 완전히 청산되지 못하고 남아있습니다.

 

한의와 양의로 이원화된 의료체계임에도 불구하고한의는 법과 제도적인 부분은 물론 의사’, ‘의료계와 같은 관련 명칭에서도 부당한 차별을 당하고 있습니다.

 

■ 일제 강점기 이전의사는 한의사’· ‘양의사’ 지칭

일제 강점기 이전 의사의 정의를 법률로 규정한 대한제국 의정부 총무국 관보과에서 발행한 관보(官報내부령 제27호 의사규칙(광무 4, 1900)에서 의사를 설명한 내용을 보더라도 한의사와 양의사를 모두 의사로 통칭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당시 활동했던 대표적인 한의사가 바로 종두법으로 유명한 지석영 선생(훗날 의생면허 6)입니다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관립의학교가 지석영 선생의 청원으로 설립됐으며그는 이 학교의 교장으로 재임하기도 했습니다.

 

■ 일제의 한의약 말살’ 탄압의사에서 한의사

그러나 경술국치 이후일제의 본격적인 민족 탄압이 시작되면서 우리 민족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온 한의학과 한의사들에 대한 본격적인 억압이 시작됩니다.

 

일제는 광제원에서 한의를 모두 쫓아내고 정부의 공식적인 제도와 기구에서 한의를 모두 제외시켜 버렸습니다더 나아가 한의학을 말살하기 위해 한의사 제도를 폐지하고, 1913년 조선총독부령으로 의생규칙을 공포해 대한제국 시기 의사로 칭해졌던 한의사들을 의생(醫生)으로 격하하는 만행을 저지릅니다그리고 1944년에는 조선총독부제령 제31호 조선의료령을 통해 그나마 존치했던 한의사(의생양성제도를 폐지해 버립니다.

 

반면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일제는 양의학을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이식하게 됩니다아울러 양의사들에게 막강한 권한을 부여하고양의사와 양의학 일변도의 법과 제도를 수립시행하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기존의 의사였던 한의사들은 핍박과 억압을 받게 되며양의사들은 자연스럽게 기득권층으로 부상하고 의사=양의사라는 인식이 자연스럽게 사회 전반에 퍼지며 오늘날까지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

 

■ 의사’, ‘의료계는 중립적 언어양의계 전유물 ×

의사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면허를 얻어 의술과 약으로 병을 진찰하고 치료하는 사람으로, ‘양의사는 서양의 의술을 전공한 의사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의사는 양의사만을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의료인인 한의사와 양의사치과의사를 통칭하는 중립적인 단어를 뜻합니다따라서의료체계가 한의와 양의로 이원화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한의사’, ‘양의사’, ‘치과의사라고 구별해 사용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의료계라는 단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의술로 병을 고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사회를 일컫는 의료계는 당연히 한의사와 양의사치과의사간호사조산사 모두가 활동하는 영역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양의계에서는 의료계가 자신들만을 호칭하는 용어라는 말도 안되는 억지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양의계만의 의견이거나양의계에 국한된 내용에 의료계라는 단어를 오용함으로써 마치 모든 의료인들의 의견이거나 모든 의료인들이 관련 있는 것처럼 국민을 혼란에 빠뜨리는 사례가 지금도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입니다.

 

■ 보건의약분야 일제잔재 청산올바른 용어 정립부터 시작

광복 80주년을 맞았지만아직도 우리 사회 곳곳에 일제의 잔재가 기생충 처럼 숨어 있습니다보건의약분야도 마찬가지입니다이제부터라도 한의사와 양의사’, ‘한의계와 양의계’, ‘의료계’ 등 바른 용어 정립과 사용을 통해 보건의약분야의 진정한 광복을 맞이해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국민 여론형성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계신 언론인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간곡히 당부드리며양의계의 반성과 자발적인 동참을 촉구합니다.


이전글 [보도자료] 김지호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 ‘의사인력 수급추계委에 한의사 참여 촉구’ 1인 시위
다음글 [보도자료] 교육체계 개편으로 미래지향 의료 인력양성, 한의계, 한의학 교육혁신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