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
---|---|---|---|---|---|---|---|---|---|---|---|---|---|---|---|---|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 환영 □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엄종희)는 15일자로 정부가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에 부산대학교를 선정해 발표한 것에 대하여, 적극 환영하며 정부 당국과 국민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 한의협은 과거 한의학이 사학에만 의존해 인재 양성을 해 오던 것을 이번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국가가 한의학의 발전을 위한 투자와 우수한 인재 육성에 발 벗고 나섰다는 점에서 늦은 감은 있으나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 또한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에 앞서 의료인력의 과잉공급을 방지하고 한의학 발전의 밑거름을 위해 입학정원을 자발적으로 줄여 ‘살신성인’의 모습을 보여준 경희대, 대구한의대, 원광대, 대전대, 동국대 등 5개 대학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인사도 전했다. □ 향후 한의학은 중의학과 세계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입장에 있는 바, 이번 국립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으로서 경쟁우위에 설 수 있도록 한의협을 비롯한 한의계 전체가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입장도 표명하였다. ■ 별첨 : 국립대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 관련 성명서 1부. 끝.
- 성 명 서 -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을 환영함 교육인적자원부가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치심사위원회 심사결과 부산대를 최종 선정했다고 15일 발표했다. 과거 한의학이 사학에만 의존해 인재 양성을 해 오던 것을 이번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국가가 한의학의 발전을 위한 투자와 우수한 인재 육성에 발 벗고 나섰다는 점에서 늦은 감은 있으나 크게 환영하는 바이다. 지난 1946년 조선한의사회가 ‘국립 한의대 설립’을 정부에 건의한 이래 실로 반세기만에 한의계의 숙원과제가 해결되었다. 이는 일제의 한의학 말살기도 이후 1세기만에 역사적인 부활을 하게 된 것으로 전국의 1만7천여 한의사와 함께 정부 당국에 감사드린다. 또한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치 대학이 선정되기까지 많은 노력을 기울여온 교육인적자원부와 보건복지부 등 정부 관계자 및 설치심사위원회 위원 여러분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며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주신 범한의계 인사들과 한의학을 사랑해 주신 국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은 한의약육성에 대한 국가적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천명하고 한의학의 제도적 정체성을 확보한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으며, 사학의 재정적 현실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한방의료의 체계화, 임상연구 강화 등으로 한의학의 발전은 물론 한방의 산업화에 있어서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한의학 교육의 국제표준화 및 21세기 의료환경 변화를 주도하게 될 새로운 인력양성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는데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국립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에 앞서 의료인력의 과잉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 대학의 입학정원을 자발적으로 줄이는 ‘살신성인’의 모습을 보여준 경희대, 대구한의대, 원광대, 대전대, 동국대 등 5개 대학의 재단이사장님, 총장님, 학장님을 비롯한 대학관계자 여러분의 숭고한 희생은 한의학 발전의 밑거름으로 오래 기억될 것으로 확신한다. 한의학은 중의학과 세계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입장에 있는 바, 이번 국립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으로써 경쟁우위에 설 수 있도록 한의협을 비롯한 한의계 전체가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다. 2006. 11. 15 대한한의사협회 회장 엄 종 희
|
이전글 | [보도자료] 한의협 등 보건의료 5단체, 건강정보보호법 제정 반대 성명서 관련 |
다음글 | [보도자료] 한약 복용의 간 안전성 입증 관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