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보도자료] 국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에 한의약 참여 “국민건강증진 위해 반드시 필요”
  • 날짜 : 2016-12-14 (수) 10:12l
  • 조회 : 1,418
  
자료배포일
2016. 12. 14()
매 수
(5)
보도 일자
즉 시
담당 부서
홍 보 실
보충 취재
보도자료에 대한 문의사항은홍보실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 화
02) 2657-5000
(내선 6)
팩 스
02) 2657-5005
 
국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에 한의약 참여
국민건강증진 위해 반드시 필요
 
- 한의협, 13일 전경련회관서심뇌혈관질환의 한의학적 예방관리 포럼개최심뇌혈관질환 관련 한의약 치료효과 및 한의표준 임상진료지침 개발현황 등 발표
 
- 한의입원 10대 다빈도 상병 중 30%, ·양방협진 다빈도 상병 중 44%가 심뇌혈관 관련 질환내년 5월 시행되는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법’,‘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수립에 한의약 적극참여 필요성 제기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법)’이 내년 5월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국민건강증진을 위하여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한의약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는 지난 13,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심뇌혈관질환의 한의학적 예방관리 포럼을 개최하고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법과 하위법령에 한의계의 역할이 명시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정부는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2008년 강원과 경북, 제주대 병원을 시작으로 현재 11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운영 중에 있으나 지정기준이 종합병원급으로 되어있고 한의과 협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 한의계의 참여는 없는 상태다.
 
하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한의입원 10대 다빈도 상병 자료(2014년 진료비통계지표)’를 살펴보면 심뇌혈관질환 관련 상병이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뇌경색증’, ‘편마비3종이나 포함되어 있다(아래 표1 참조).
 
1. 201410대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입원)
(단위: , , 천원, )
순위
상병
실인원
입원일수
총진료비
입원일당
진료비
1
M54
등통증
55,615
390,102
35,690,860
91,491
2
M17
무릎관절증
28,081
135,325
16,701,225
123,416
3
S33
요추 및 골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24,837
332,575
19,447,172
58,475
4
M79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연조직 장애
22,036
27,667
9,742,101
352,120
5
M51
기타 추간판 장애
21,861
485,207
27,862,033
57,423
6
I69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12,212
60,281
9,612,548
159,462
7
M25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관절장애
11,640
24,682
5,469,654
221,605
8
I63
뇌경색증
9,509
119,551
10,872,290
90,943
9
M75
어깨 병변
7,249
27,427
3,182,755
116,045
10
G81
편마비
6,461
8,725
4,075,747
467,134
자료 : 2014진료비통계지표,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또한 2015년 기준 한·양방 협진 다빈도 상병 9종 중 절반에 가까운 4종이 심뇌혈관질환인 것으로 확인돼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있어 한의약의 기여도가 크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아래 표2 참조).
 
2. 2015년 다빈도 한양방 협진질환(입원)
상병코드
상병명
I639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M511
추간판 장애로 인한 좌골신경통
G825
사지마비 NOS
I619
상세불명의 뇌내출혈
S3350
요추의 염좌 및 긴장
M501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척추병증, 상세불명의 부위
M170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
C73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G510
안면마비
자료 : 한방 융합기술 및 치료서비스 개발 육성을 위한 제도 환경 구축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5
 
이러한 현실에서 곧 시행을 앞둔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법에 아직까지 한의계의 참여방안이 명확히 마련되지 않아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진료 선택권과 편의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날 김필건 대한한의사협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대표적 노인성 만성질환인 심뇌혈관질환을 한의학이 가지고 있는 예방의학적, 재활의학적 장점으로 관리하는 것은 고령화 사회의 국민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명쾌한 해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이러한 차원에서 오늘 포럼은 한의계가 국민건강증진을 위하여 심뇌혈관질환과 관련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고 제도권으로 향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진행된 본 행사에서는 심뇌혈관질환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 현황(정석희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사업단장)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소개 및 실행방안(박의준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사무관) 한의약을 이용한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 치료(장인수 우석대 한의과대학 교수) 한의약을 이용한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치료 및 재활(문상관 경희대 한의과대학 교수, 중풍센터장)한의약을 이용한 심뇌혈관질환(고혈압, 당뇨) 예방 및 관리(이병철 경희대 한의과대학 교수) 고혈압의 한의학적 지표와 관리: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정보 분석을 중심으로(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장) 심뇌혈관의 중의약 예방치료 정책, 활용 및 연구동향(박은성 중국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장)이 발표되었으며, 이상영 한의학정책연구원장의 진행(좌장)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법 시행령에 한의계 참여방안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이 날 포럼에 정부측 인사로 참석한 박의준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사무관은 심뇌혈관질환 치료에 있어 예방과 재활 등 여러 분야에서 한의약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근거중심으로 볼 수 있었던 의미있는 시간이었다라고 밝히고 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 수립에 한의약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중지를 모은다면 국가적으로 심혈관질환을 관리하는데 있어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한의계의 면밀한 검토와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수립 시 한의약 관련 사업 포함 각종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에 한의학 연구전문기관 참여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한의학 정보제공 및 교육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예방, 치료,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한·양방협진 촉진 권역별심뇌혈관질환센터 및 하위센터에 한의의료기관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정부와 협의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첨 부 : ‘심뇌혈관질환의 한의학적 예방관리 포럼관련사진 2부 끝.

 

   
 
   
이전글 [보도자료] 최순실 사태로 드러난 양방의료계의 부끄러운 ‘민낯’
다음글 [보도자료] 독감(인플루엔자) 치료, 한약으로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