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소식
- Association news
공지사항
- 새소식
- 공지사항
|
||||||||
---|---|---|---|---|---|---|---|---|
첨부파일 |
|
|||||||
□ 대한한의사협회는 국민에게 올바른 한의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한의약 관련 용어 정의 등을 보내드리오니 향후 기사 작성 및 방송 프로그램 제작 시 참고하여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드립니다. <한약> 한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후, 한의원과 한방병원에만 공급되는 의약품용 규격 한약재들을 이용하여 조제한 의약품을 말합니다. <한약재(의약품용 한약재)> 한의사가 직접 처방 및 조제하는 한약의 재료. 약물의 특성과 효능을 이용하여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 식약처의 GMP(한약재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제도에 따라 인증을 받은 GMP한약제조(제약)회사에서 생산한 한약 규격품을 말합니다. <한의약적 관점에서 식품(농산물)> 식품(농산물)은 약사법에 따라 입고검사, 출고검사 등 GMP에 따라 생산되는 의약품이 아닌 농산물로서 홈쇼핑, 대형마트, 식품판매업소 또는 시장, 음식점 등에 유통되고 있으며, 법적으로 의료기관의 한약 재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식약공용품목> 식약공용품목은 의약품인 한약재와 동일한 명칭의 품목을 사용?용도에 따라 유통 및 품질관리기준을 달리 적용한 것으로, 의약품용 규격품 한약재와 식품(농산물)으로 나뉘어 활용되는 품목을 말합니다. ‘감초’, ‘당귀’, ‘황기’ 등이 대표적인 식약공용품목이며,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마황’의 경우는 식품으로 사용할 수 없고, 의약품용 한약 처방에만 사용이 가능한 품목입니다. 즉, 이름과 외형은 똑같이 ‘감초’라 하더라도 의약품용 한약재는 말 그대로 ‘약’이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은 ‘식품’이 되는 것입니다. -참고자료- 아직도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가 되고 있는 불량 한약재 문제는 ‘의약품용 한약재’가 아닌 ‘식품(농산물)’인 경우가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의약품용 한약재’와 ‘식품(농산물)’이 같은 명칭(감초, 당귀, 황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민들에게 ‘의약품용 한약재’에 대한 불신만 키우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이와 관련하여 오남용 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되는 약재의 경우에는 식품(농산물)으로 유통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식약공용품목의 대폭 축소 및 명칭개선’을 관계당국에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증진을 위하여 ‘한약재(의약품용 한약재)’와 ‘식품(농산물, 건강기능식품 포함)’을 서로 오인하는 일이 없도록 관련 내용 보도 시 각별한 관심과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 한의약 관련 용어(법률)
|
이전글 | [보도자료] 전세계가 반한 평창 올림픽 한의학, 각 국 선수, 임원들 모두 엄지 척 |
다음글 | 제63회 정기대의원총회 개최 공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