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 한의학 정보
  • Korean Medicine Information

한의약상담FAQ

  • 한의학 정보
  • 한의약상담FAQ
  • “침 치료, 뇌신경망의 피질선조체 보상/동기회로의 조절 효과를 통해 우울증을 치료해”
  • 날짜 : 2016-11-07 (월) 15:57l
  • 조회 : 845

“침 치료, 뇌신경망의 피질선조체 보상/동기회로의 조절 효과를 통해 우울증을 치료해”

바로가기 http://www.journalofpsychiatricresearch.com/article/S0022-3956(16)30386-7/abstract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우울증(주요 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에서 침 치료는 임상의학적으로 견고한 근거가 축적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해당 질환인 우울증의 발생 병리기전은 현재 유전적 원인, 생물학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되는 있으나, 여전히 명확한 설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신경과학에서 피질-선조체 연결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동기부여 및 인지발달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근래에는 우울증에 있어서 이 보상 시스템이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에 중-미 연구진들은 우울장애로 진단된 여성에 대한 침치료와 SSRI의 병행이 피질-선조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침 치료에 대한 무작위 대조시험과 병행하여 fMRI를 통해 이들의 휴지기 기능연결성(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을 측정했다. 


 연구는 우울증으로 진단된 여성 46례를 무작위로 2개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는 침 치료와 SSRI를, 다른 한 군에는 거짓 침 치료와 SSRI를 투여하고 8주간 치료를 시행하여 경과를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8주간의 침 치료는 우울증 여성 환자들에서 선조체에서 피질, 피각(putamen), 부해마(parahippocampus)편도체의 기능연결성 활성화를 유도함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연결성이 강화된 뇌의 부위는 보상 및 동기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부위이며, 통계적 처리를 통해 이러한 기능연결성의 강화는 몽고메리-아스베리 우울증 평가척도(MADRS) 및 자가평가우울증척도(SDS)의 감소와 상관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진들은 침 치료가 보상 및 동기 조절을 통해 우울증의 임상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였다. 


 이 연구는 정신의학 연구지(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에 발표되었다. 

이전글 “기능성 소화장애에서 침 치료 효과적”
다음글 “급성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 한약 투여는 재발작 억제 효과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