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 한의학 정보
  • Korean Medicine Information

한의약상담FAQ

  • 한의학 정보
  • 한의약상담FAQ
  • “일본 노인의학회, 다수의 한약처방 진료에 권장해”
  • 날짜 : 2016-11-07 (월) 16:01l
  • 조회 : 909

“일본 노인의학회, 다수의 한약처방 진료에 권장해”

바로가기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ggi.12803/abstract


 일본 노인의학회는 최근 공식학회지인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지를 통해, 노인질환에 대한 한약처방의 의학적 근거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일본 국립 도호쿠 의과대학 한방진료부의 Shin Takayama교수와 동대학 병원 한방진료센터의 Koh Iwasaki교수에 의해 진행된 것으로, 일본 노인의학회의 2005년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지 않은 1972년부터 1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발표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한약이 노인 질환을 개선시킬수 있는지, 노인에서 한약 복용에 따르는 부작용은 무엇인지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한약 억간산(치매환자의 BPSD, 환각 치료), 반하후박탕(치매환자의 흡인성 폐렴 예방), 대건중탕(중풍환자의 배변 개선), 보중익기탕(COPD환자의 전신염증 및 영양상태 개선), 마자인환(기능성 변비 개선), 단기편탄교낭(뇌졸중 환자의 기능개선), 복지산(경도인지장애환자의 인지기능개선), 지필소(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CCH1(변비 개선), 강탁청간(혈압 및 체중감소 효과), 안체위(인플루엔자 치료), 연화청온교낭(인플루엔자 치료), 복방단삼적환(협심증 치료), FEPS(중풍후 우울증 개선), 당족유고(당뇨병성족부궤양 치료), 선령골보교낭(골다공증 치료), AGE(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녹차카테킨(인플루엔자 감염 위험 감소) 등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었고, 한약투여에 따른 부작용도 제시되었다. 이중 근거수준이 낮은(Low) 처방은 2종, 적절한(Moderate) 처방은 11종, 높은(High) 처방은 5종이었다. 


 연구진들은 부자, 감초, 마황, 황금, 치자의 사용에 대해 진료의사는 처방시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당부했다. 


 한편, 2015년 11월 25일 현재, 일본 동양의학회가 발간한 한약제제의 기재를 포함한 진료가이드라인의 최신판(2015.11.25)에서는 일본에서 발표된 진료지침 784건중 한약제제에 관한 언급이 있는 지침이 98건(11.6%)으로,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들은 이러한 결과는 진료지침을 작성한 의사들이 학부에서 한의학을 제대로 배우지 않았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 지적했다.

이전글 “침치료는 긴장형 두통치료에 효과적”
다음글 “비소세포폐암환자에서 표준항암화학요법과 한약 병용투여를 고려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