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 정보
- Korean Medicine Information
한의약상담FAQ
- 한의학 정보
- 한의약상담FAQ
|
|
---|---|
“전침치료의 수술후 장 마비 치료 기전은 미주신경 조절 효과에 의한것이지만, 그에 따른 국소 염증조절과는 무관” 바로가기 http://www.nature.com/articles/srep39801 ‘대건중탕’과 같은 한약과 침 치료가 수술후 장마비(ileus)를 개선할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중국 연구진들은 전기 침 치료가 수술후 장마비에 대한 작용 기전을 검토하여 그 기전이 미주신경 조절효과에 있음을 규명했다. 복강장기에 대한 조작은 위장관의 운동기능을 지연, 감소시키고, 수술은 염증반응을 유발하며, 수술중 마취는 중추의 미주신경 조절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서 족삼리(ST36)에 대한 전침 치료는 위장관 운동기능을 항진시키고, 중추에서 미주신경 조절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이 있음이 이번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번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시사된것처럼 국소 염증 조절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콜린성 신경계 및 모틸린, TRPV1, CGRP 등을 매개하여 위장관 운동 촉진 및 소화기계 혈류 증진 등의 작용으로 장마비를 개선하는 대건중탕과 전침 치료를 병행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상승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두 치료의 병행에 따른 이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이전글 | “근위취혈과 원위취혈, 작용 기전 뚜렷히 달라” |
다음글 | “전침(電鍼) 치료의 새로운 염증성 통증 억제 기전 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