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 정보
- Korean Medicine Information
한의약상담FAQ
- 한의학 정보
- 한의약상담FAQ
|
|
---|---|
“섬유근육통에서 전침 치료의 역할은?” 바로가기 https://doi.org/10.1038/srep46663 만성적인 통증과 피로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지만 아직 병인에 대해서 많은 것이 알려지지 않은 섬유근육통에 대해 임상적으로 효과적으로 알려진 침 치료의 작용 기전 일부가 규명되었다. 전침 치료는 임상연구들에서 통증감소 및 피로등의 주관적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NMDA수용체의 발현 감소를 통한 NMDAR−CaMKIIα−pCREB 경로 조절 등이 관여할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대만 중국의약대학연구진들은 또다른 전침 치료의 작용경로를 검토, 섬유근육통 모델에서 ASIC3 knockout mouse나 ASIC3 수용체길항제로 인해 질병의 진행과 관련된 중추의 변화가 사라진 것을 확인하고, 이에 섬유근육통에서의 통증 유발기전에 척수에서의 ASIC3(acid-sensing ion channel 3)의 증가가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침 치료는 여기에 관여하여, 척수에서의 ASIC3의 증가를 억제함을 확인했다. 또한, 시상에서도 섬유근육통에 의해 ASIC 및 pPKA, pPI3K-pERK신호경로의 활성이 확인되었는데, 침 치료는 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진은 이러한 작용이 섬유근육통의 통증에서 전침 치료의 효과를 설명해줄 새로운 기전으로, 기초 및 임상에서 유용한 시사점이 될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전글 | “만성 위축성 위염에서 침 치료는 효과가 있을까?” |
다음글 | ‘한약은 어떻게 불안 증상을 개선할까? 정신신경면역학적 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