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례 심평원 업무상임이사, 올해 업무 추진계획 밝혀 [한의신문=윤영혜 기자]보건의료자원 신고가 일원화되면서 연간 약 19억 3000만원의 비용이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명례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업무상임이사는 7일 전문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2017년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심평원은 그 동안 의료기관이 지방자치단체와 심평원에 중복신고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신고서식 표준화, 신고 항목 축소, 일부 신고사항에 대한 첨부서류 삭제 및 생략 등 보건의료자원 신고 업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고, 그 결과 중복신고 약 33만 건이 생략된 것으로 확인됐다. 최 이사는 “특히 지자체뿐 아니라 다른 정부기관이나 유관기관과 정보를 공유해 청구나 심사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올해 심평원의 주요 업무 추진계획으로는 △종합병원 심사지원 이관 연착륙 △결핵 적정성 평가를 비롯한 환자 경험평가 신규 도입을 꼽았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종합병원 심사 이관’과 관련해선 안정적 심사를 위해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2단계 피드백 체계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또 건강보험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심사기법 과학화도 추진한다. ‘요양기관 적정성평가 영역 확장’과 관련해선 지난 2001년 약제 적정성평가를 시작으로 급성기 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평가영역을 점차 확대해 지난해에는 총 31개 항목까지 늘어난 상태다. 올해는 신규로 결핵 적정성 평가와 환자 경험평가가 도입돼 총 32개 항목을 수행하게 된다. 최 이사는 “의료진과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통증 조절이 잘되고 불필요한 검사 등이 억제돼 환자 안전과 긍정적인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임상은 물론 연구에서도 확인됐다”며 “ICT 기술을 바탕으로 한 평가자료 수집체계를 개선해 의료기관 자료제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환자 경험 평가 설문조사 중 환자의 ‘학력’ 조사 문항에 대해서는 “전문가 자문을 거쳐 분과위원회에서 수차례 논의해 결정했다”면서도 “앞으로 평가 수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개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