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케어 협조하는 민간학회 압박 포항 지진 피해 현장 사진·물의 일으킨 웹툰 작가와 계약도 [한의신문=민보영 기자] 직역 이해와 맞지 않는 사안에 대한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의 비상식적인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가 ‘문재인케어’의 핵심 연구 용역을 맡고 있는 민간학술단체에 공문을 보내 협조를 하지 말라고 압력을 넣는가 하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웹툰 작가와 계약을 맺으면서도 큰 문제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일보 등 복수의 언론에 따르면 의협 비대위는 지난 22일 대한영상의학회에 ‘자기공명영상(MRI) 및 초음파 급여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협조 귀 학회 개별 진행의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냈다. 이 공문에서 비대위는 “의협은 정부의 일방적 보장성 강화정책 추진(비급여 전면 급여화)에 대해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이 문제에 대한 투쟁과 협상의 전권을 가진 비대위를 지난 9월16일 구성했다”며 “의협에서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에 대한 대응 창구가 단일화된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개별 과별 접촉이나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의협 비대위의 일관된 지침에 따라 해당 대응이 이뤄져서 회원들의 권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언론에 자료를 공개한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지난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뢰로 MRI와 초음파 검진의 전면 급여화를 앞두고 MRI 등의 적정 사용량에 대한 의학적 기준을 마련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영상의학회는 김 교수의 연구에 동참하겠다고 했지만, 비대위의 공문을 받은 후 김 교수에 대한 협조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업무 방해라는 생각이 든다. 이밖에도 직간접적으로 (비대위측의)압박을 느낀다”고 했고,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는 “의협 차원에서 단일창구를 만들어 대응하는 것은 이해는 하지만 민간학술단체에서 합리적이고 정밀한 수가를 산출하자는 순수한 연구용역까지 협조를 막는 것은 연구와 정책을 분리해서 생각을 못하는 것으로 이는 도저히 전문가집단이라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의협 비대위는 일부 신문 지면에 문재인케어 비판 광고를 내면서 포항 지진 피해 현장을 배경 사진으로 사용해 비판을 받았다. 또한 지난 21일에는 의사 회원에게 세월호 참사를 지진에 비유하고 위안부 소녀상을 비하한 작가의 웹툰을 실어 물의를 빚었다. 의협 비대위는 웹툰 작가 윤서인씨와 주 1회 웹툰을 싣는 조건으로 3개월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비대위측은 작가의 정치적 성향은 문제되지 않으며, 현재의 이슈를 국민들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작가면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