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보도자료] 한방과립제, 갱년기 장애 여성 안면홍조 치료효과 관련
  • 날짜 : 2008-04-16 (수) 17:49l
  • 조회 : 3,845
 

보도자료

대한한의사협회

(www.akom.org)

자료배포일

2008. 4. 16(수)

매     수

총(3)매

보도 일자

즉일

담당 부서

홍보실

보충 취재

보도자료에 대한 문의사항은

홍보실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     화

02)2657-5000

(내선 2번)

팩     스

02)2657-5005


한방과립제, 갱년기 장애 여성의 안면홍조 치료에 효과

안전하고 수용성 높아 임상활용 가능성 입증


□ 한방과립제가 갱년기 장애 여성의 안면홍조 개선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한방부인과학회지에 발표된 ‘한방과립제의 폐경 후 삶의 질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김동일, 박제민,양정민 교수팀)’에 따르면 2006년 1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에 내원한 안면홍조를 비롯한 혈관운동장애 증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된 갱년기 장애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당귀작약산과 계지복령환의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조사했다.


 환자들에게 두 약물을 투여한 다음, 안면홍조에 수반되는 발한 현상에 자각적 강도(Sweating Visual Analog Scale)를 측정한 결과 VAS의 변화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0.011, 논문 : 표 4, Sweating VAS graph 참조), 안면홍조에 수반되는 두근거림의 자각적 강도(Palpitation Visual Analog Scale)의 실험결과에서도 VAS의 변화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표 5, Palpitation VAS graph 참조).


 또한 안면홍조로 인한 일상생활의 장애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피험자 개선도 평가(PGA : Patient's Global Assessment)에서는 측정시기에 따른 PGA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고(P=0.000, 표 8, PGA graph 참조), 약물 종류에 따른 상호작용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7).


 즉, 한방과립제인 두 약물 사이의 제반 조건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환자에게 투약 후 측정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두 약물군에서 모두 호전반응이 있었다. 그리고 임상연구 중 이상반응이나 검사실 검사, 이학적 검사에서 반영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당귀작약산과 계지복령환은 폐경후 갱년기 장애 여성의 안면홍조 개선과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안전하고 수용성이 높아 임상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임상연구에서 사용된 약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제조 품목허가를 받은 당귀작약산과 계지복령환 과립으로, 이 과립제는 전통적으로 피가 부족하거나(血虛) 어혈로 인한 부인과 질환에 널리 활용되어 온 바 있다.


 한편 폐경후 갱년기 장애 여성의 건강에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증상이 안면홍조로서, 이 증상과 내분비학적 변화는 매우 복잡한 연관성을 가지며, 혈중 에스트로겐 수치의 하강은 안면홍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안면홍조의 증상이 신장(腎臟) 기능의 감소와 신정(腎精)의 고갈, 정혈(精血)의 부족, 신장(腎臟)과 심장(心臟) 기능 사이의 부조화 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 P값은 0.05기준이며, 이하일 경우 유의성이 있고 이상일 경우 유의성이

    없음을 나타냄.


- 문의 :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여성의학과 김동일 교수

            TEL) 031-961-9062




■ 별첨 : 한방 과립제의 폐경 후 삶의 질 개선효과에 대한 연구 논문 1부. 끝.

이전글 [보도자료] 한방의료기관 한약재 관리 철저 관련
다음글 [보도자료] 월경통에 침 치료 효과 입증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