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소식
- Association news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
---|---|---|---|---|---|---|---|---|---|---|---|---|---|---|---|---|---|---|---|
‘월경통에 침 치료 효과 입증 ’ 사암침법 치료후 통증환자에게 유의한 것으로 확인돼 ☐ 침 치료가 월경통 환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 대한침구학회지가 최근 발표한 ‘월경통에 사암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윤현민 교수 연구팀)에서는 동의대학교 한방병원에 내원한 만 16세 이상 40세 이상 여성 월경통 환자를 대상으로 사암침법의 치료효과에 대해 조사했다. ☐ 조사에서는 침 치료 전후의 통증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월경통의 평가도구로 MMP(Measure of Menstrual Pain : 월경통 측정도구)와, 월경곤란증 30여개 항목의 평가도구인 MMSL(Menstrual Symptom Severity List)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임상실험에 있어서 MMP는 월경통의 통증정도가 0에서 10까지로 나누어 5이상으로 진통제를 복용할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실험군은 사암침법에서의 소장정격과 삼음교 등에 자침하였으며, 대조군은 부인과 질환에 흔히 사용되지 않는 경락의 4혈을 선택하여 치료효과를 조사했다. ☐ 실험결과 월경통의 침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전체의 MMP는 7.648에서 4.528로 감소하였고, MMSL은 61.316에서 36.286으로 감소하여 월경통의 침치료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임상시험결과 실험군, 대조군에 대한 환자들의 침의 치료효과에 있어서 두 군 모두 치료 후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특히 실험군에서 더 우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 특히 이번 임상 연구에서는 침 치료 후에 특별한 부작용을 호소하는 환자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치료 전후의 혈액 검사상에서도 특별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월경통에 대한 한의학적인 치료법으로는 변증(辨證)에 따른 한약치료와 혈자리인 중극(中極), 수도(水道), 기해(氣海), 삼음교(三陰交), 태충(太衝) 등에 호침(豪鍼)을 이용한 치료법, 이침(耳鍼)을 이용한 치료법, 레이저침치료, 전침(電鍼)치료, 약침(藥鍼)치료, 구법(灸法) 등이 사용되고 있다. - 문의 :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윤현민 교수 연구팀 (051-850-8934) ■ 별첨 : 대한침구학회지, ‘월경통에 사암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논문 1부. 끝. |
이전글 | [보도자료] 한방과립제, 갱년기 장애 여성 안면홍조 치료효과 관련 |
다음글 | [보도자료] KOMSTA, 동티모르 한방의료봉사 관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