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소식
- Association news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
---|---|---|---|---|---|---|---|---|---|---|---|---|---|---|---|---|---|---|---|
첨부파일 |
|
||||||||||||||||||
동의보감 개간본(東醫寶鑑 開刊本) 전질, 한의사협회 품 속으로!!!
김정곤 한의협회장, 허준 선생 묘역 참배…1659년 개간본 25권 완질 기증
국내외 몇 질 없는 희귀본…‘한의약 관련 회원 소장품 기증 운동’활성화 기대
□ 김정곤 대한한의사협회 회장이 1659년 발간된 ‘동의보감(東醫寶鑑)’ 개간본(開刊本) 전질(25권)을 협회에 기증했다.
□ 대한한의사협회에 기증된 ‘동의보감’ 개간본은 1613년 11월 초간본(훈련도감 활자본) 이후 발간된 가장 빠른 판본으로, 25권의 완질을 구성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와 의미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 특히, 이번 기증에 맞춰 김정곤 회장은 지난 2일 허준 선생 묘소를 참배하고, 동의보감 개간본을 고(告)하는 예를 갖춰 그 뜻을 더했다.
□ 김정곤 회장은 “의학서적으로는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우리의 자랑스런 유산인 동의보감의 전질을 후학들의 단체인 대한한의사협회가 소장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계기로 현재 협회가 전개하고 있는 회원들의 소장품 기증 운동이 보다 더 활성화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 ‘동의보감’은 1610년 8월에 허준 선생에 의해서 완성된 이후로 한국에서 수차례 간행되었으며, 그 첫 번째 판본은 1613년 11월 훈련도감 활자본으로 현재 장서각(이왕가 구장본), 규장각(태백산 사고 내사본), 국립중앙도서관(오대산 사고 내사본) 등에 보관되어 있다.
□ 이 판본에는 ‘만역사십일년 십일월일 내의원봉교간행 감교관 통훈대부내의원직장신이희헌 통훈대부내의원부봉사신윤지미(萬曆四十一年 十一月日 內醫院奉敎刊行 監校官 通訓大夫內醫院直長臣李希憲 通訓大夫內醫院副奉事臣尹知微)’라고 간기(刊記)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만력사십일년(萬曆四十一年)’은 1613년에 해당된다. 1613년 초간본이 나온 이후로 영남, 영영(嶺南, 嶺營)과 호남, 완영(湖南, 完營)으로 나뉘어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 이후에 나온 첫 번째 판본으로 ‘세기해중추 내의원교정 영영개간(歲己亥中秋 內醫院校正 嶺營開刊)’이라는 간기(刊記)가 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김정곤 회장이 이번에 한의사협회에 기증한 판본이다.
□ 이밖에 현존하는 판본들로는 ‘갑술령영개간본(甲戌嶺營開刊本, 1754년)’, ‘갑술령영개간본(甲戌嶺營改刊本, 1814년), 갑술완영중간본(甲戌完營重刊本, 1814년)’ 등이 있으며, 이들 판본들은 ‘동의보감’을 조선의 의학에 깊숙이 내재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이와 관련 김남일 경희대 한의대학장(의사학교실)은 “간기(刊記)에 붙은 ‘기해(己亥)’는 1659년을 말하며, 1613년 간행된 이후로 46년 후에 최초로 교정되어 영남에서 간행되게 된 것”이라고 밝히고 “김정곤 회장이 기증한 판본이 비록 초간본은 아니지만, 시기적으로 초간본과 같은 17세기이며 초간본 이후 50년도 안된 시기에 다시 재간된 것으로 이를 대한한의사협회에서 보유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 이어 김남일 학장은 “한의계를 대표하는 최고의 단체로서의 위상에 맞게 이번 자료를 잘 관리해야 하는 것은 물론 내외국의 방문객들이 그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 판넬의 설치와 소책자의 간행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별첨 : 1659년 동의보감 개간본 관련 사진 2부. 끝.
|
이전글 | [보도자료] 한의협 임직원, 파주 '醫聖 허준 선생' 묘소 참배 |
다음글 | [보도자료] 대한한의사협회-A+에셋 업무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