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한의협 논평] 연간 수출로 4조원 이상 벌어들이는 중국‘중의약’산업에서‘창조경제’배워야
  • 날짜 : 2015-09-01 (화) 15:14l
  • 조회 : 1,473
보도자료
대한한의사협회
(www.akom.org)
자료배포일
2015. 9.  1 (화)
매     수
총(3)매
보도 일자
즉  시
담당 부서
홍  보  실
보충 취재
보도자료에 대한 문의사항은
홍보실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     화
02) 2657-5000
(내선 6번)
팩     스
02) 2657-5005

[논평] 연간 수출로 4조원 이상 벌어들이는
중국‘중의약’산업에서‘창조경제’배워야

- 박근혜 대통령, 9월 2~4일 방중…중국 중의약 산업 발전 롤모델 삼아
   한약제제 산업 활성화 및 해외 수출, 한의의료기관 해외 진출 등 창조경제’
   이뤄내야

□ 박근혜 대통령이 9월 2일부터 4일까지 중국을 방문한다. 박 대통령의 이번 중국방문에는 중국의 전승절 행사 참석뿐만 아니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및 리커창 총리와의 경제협력과 관련한 면담 일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150여명의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동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세계를 좌지우지할 정도의 경제대국이 된 중국의 경제발전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그 중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분야가 바로 ‘중의약’이다.

□ 현재 중국은 의료분야에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서양의약이 아닌 중의약이 있다. 중국 세관의 통계(2014년 기준)에 따르면 중국은 매년 중성약(한국의 한약제제에 해당) 수출로만 4조원이 넘는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 중의사와 중의약을 전파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 이처럼 중의약이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배경에는 국가의 든든한 지원이 있다. 중국 헌법에 ‘중의약 발전’이 명시되어 있으며, 시진핑 주석이 지난해 호주중의센터 건립 협약식에 직접 참석하고 리커창 총리가 올 해 3월 전국인민대회에서 ‘중의약의 적극 발전’을 천명할 정도로 중국 정부의 중의약에 대한 애정과 중의약 육성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한의약은 국가적 지원은커녕 각종 불합리한 규제와 법․제도의 불비 등으로 인하여 약 300조원 규모의 세계전통의약시장에서 수출을 통한 외화획득이 전무한 실정이다.

□ 한의약 산업을 발전시켜 이 중 5%만 우리 한의약이 점유한다면 연간 15조원의 국부를 해외에서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WHO에 따르면 세계전통의약시장은 2050년에 약 6000조원까지 급팽창할 것으로 예상되는 블루오션이기도 하다.

□ 이제 우리 한의약도 도약의 기회를 잡아야 한다. 세계는 향후 최고의 부가가치산입이 IT에서 BT로 변화할 것임을 감지하고 이에 맞춰 움직이고 있으며, 한의약은 이 같은 BT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해나갈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대한민국의 전도유망한 아이템이다.

□ 이제 더 이상 중국의 중의약 산업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부러워만 해서는 안된다. 박근혜 대통령과 경제사절단의 이번 방중을 계기로 우리도 중국의 중의약 육성․발전 정책을 한의약에 고스란히 접목시켜 한약제제 산업 활성화 및 해외수출과 한의의료기관 해외 진출 등 한의약을 통한 국부창출로 ‘창조경제’를 이뤄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끝.
이전글 [보도자료] “IMS 시술이라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양의사의 IMS 주장 시술’불법 판결
다음글 [보도자료] 어려움 겪는 천연물신약 개발이 직능갈등 탓? ‘엉터리 천연물신약 정책’이 근본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