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한의계뉴스(RSS)

  • 새소식
  • 한의계뉴스(RSS)
  •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건수 4건 중 사망은 1건 (원문링크)
  • 날짜 : 2017-12-27 (수) 14:48l
  • 조회 : 825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건수 4건 중 사망은 1건
총 204건 중 사망 57건…의약품 부작용 60대가 최다 원인 의약품으로는 근골격계 계열 약물 가장 높아 [한의신문=최성훈 기자] 최근 3년간 의약품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구제 건수가 총 20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망 접수된 건수는 총 57건으로 전체 피해구제 건수 4건 중 1건(27.9%)을 차지했다. 의약품안전관리원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팀은 지난 2015년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접수 및 처리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접수현황을 살펴보면 사망 57건(27.9%)에 이어 장례비 49건(24%), 장애 9건(4.4%), 진료비 89건(43.6%)으로 나타났다. 성별 접수현황에서는 남성이 118건(57.6%)으로 여성(86건)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60~69세가 54건(26.5%)으로 가장 높았다. 해당 기간에 보상금이 지급된 총 91건(장례비 35건 제외)을 중심으로 발생된 부작용(MedDRA 분류 기준)을 질환별로 살펴보면, 중증피부이상반응이 71건(67%)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아나필릭시스 쇼크(10건, 9.4%) △시신경염 등 안질환(7건, 6.6%) 섬망 등 정신질환(4건, 3.8%) 등의 순이다. 원인 의약품(ATC 코드 기준)으로는 근골격계 계열이 51건(31.5%)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신경계(40건) △전신작용 항감염제(26건) △소화관 및 대사(16건) △비뇨생식기계 및 성호르몬(8건) △혈액 및 조혈기관(6건) △호흡기계(5건)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의약품안전관리원은 올해 처음으로 진료비까지 부작용 피해구제 보상을 확대 실시한 만큼 2018년부터는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약품안전관리원은 “보건의료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홍보에 주력할 예정이다”며 “특히 부작용 피해구제 사례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전파해 나갈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이전글 누리꾼의 친근한 한의사 선생님이 돼주세요
다음글 노인 등친 떴다방·의료기기 체험방 42곳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