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과 건강
- Korean medicine and health
동영상 자료
- 한의학과 건강
- 동영상 자료
|
|
---|---|
직업은 시대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직업군도 조금씩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이색 직업들이 나타났다 금세 사라지는 현상도 보이고 있죠.
그럼에도 한의사는 2017년 고용정보원 조사에서 직업만족도 7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미래 허준 선생을 꿈꾸는 분들을 위해 한의사가 되는 전 과정을 정리한 매일경제TV 건강한의사 영상을 준비해봤습니다.
한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예과 2년+본과 4년, 총 6년의 교육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예과 1학년 때는 생화학, 생물학, 의학통계, 의사학을 예과 2학년 때는 해부학, 본초학, 약리학 등의 기초과목을 배우면서 본과에 올라갈 준비를 하죠.
본과 1학년이 되면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한의사가 되기 위한 본격적인 의학공부를 시작합니다.
경혈을 찾아 실제 침을 놓고, 맥진과 같은 한의학적 진단법을 배우죠.
거기에 영상의학, 추나, 재활의학, 외과학을 마스터합니다.
본과 3학년에선 약침을 놓고, 응급처치를 하고, 내과학을 비롯한 처방제형학을 배우다 보니 어느덧 본과4학년이 되었군요.
이제 한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해 한의사면허를 취득하면 법적으로 한의학적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대한민국 한의사가 됩니다.
추가로 전문의 과정 4년, 박사과정 5년까지. 짧게는 6년에서 길게는 11년의 기간이 소용되는 경우도 있죠.
한자와 영어에 능통하고 수천 년간 검증돼온 한의학 서적과 현대 의서, 논문들을 탐독한 결과 전통 한의학과 현대의학 그리고 예방 및 보건학에 능통한 한의사의 면모를 갖추게 됩니다.
한의사 면허 취득 후 한의원을 개원할 수 있고 인턴 1년 레지던트 3년을 거쳐 특정분야의 한의사 전문의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 고용 정보원이 국내 621개 직업별 재직자 30명 이상씩 19,127명을 대상으로 직업별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직업가치관, 지식, 성격, 업무환경 흥미 등을 조사한 결과, 한의사가 직업 만족도 7위를 차지하게 되는데요.
더욱이 인공지능이 다수의 직업군을 대체하게 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둔 상황에서 의학계 역시 많은 부분 컴퓨터가 대신할 전망이지만
한의사는 주로 환자와의 상담으로 처방이 이뤄진다는 특징과 고령화 의료복지지원 확대에 의해 오히려 미래의 유망직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환자를 먼저 배려하는 자세와 봉사정신, 친절한 태도와 원만한 대인관계 그리고 독립성과 리더십이 강한 성향이라면 한의사에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요? |
이전글 | 영하권 강추위! 겨울철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
다음글 | 한눈에 보는 한의사가 되는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