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동영상 자료

  • 한의학과 건강
  • 동영상 자료
  • 한눈에 보는 한의사가 되는 법
  • 날짜 : 2019-06-26 (수) 19:21l
  • 조회 : 1,281



이제 수능이 끝나고 많은 학생들이

진로를 고민하고 있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의사라는 직업을 다룬

매일경제TV 건강한의사 영상을 준비해봤어요.

콘텐츠와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가히 직업 혁명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요즘,

청소년부터 사회 초년생까지 많은 분들이

직업에 대해 고민할 것입니다.

대학교 진학은 미래의 직업과도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더욱 신중할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다면 한의사들은 직업으로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을까요?

직업 선택 시 주요 지표가 되고 있는 6개 영역을 종합해서

순위를 정해봤더니 총 20개 직업 중 한의사가 무려 7위를 차지했습니다.

더욱이 보건의료를 담당하는 의료인 직군 중 유일하게

한의사만 순위권에 등극하게 됐다는 소식입니다.

자, 그럼 한의사가 되기 위한 그 첫걸음부터 알아볼까요?

먼저 한의과 대학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예과 2년, 본과 4년 등

총 6년의 교육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약침학, 내과학, 본초학 그리고 해부학, 진단학까지

환자를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과목을 마스터해야 하죠.

졸업 전에 한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해서 한의사 면허를 취득하면

비로소 법적으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대한민국 한의사가 되는 겁니다.

이렇게 한의 면허를 취득한 후에는

한의원을 비롯한 각종 의료기관에서 역량을 펼칠 수도 있고

한의사전문의로 진학, 한의학 연구원 등 국책연구소와

세계보건기구에서도 활동할 수 있답니다.

한의학은 이미 전 세계 많은 의료기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 추세인데요.

하버드, 존스홉킨스 그리고 MD앤더슨 등 굴지의 의대에서

한양방 협진을 진행하고 있답니다.

이렇게 한의사가 되기 위한 과정을 알아봤는데요.

직업이라는 것이 돈과 명예도 중요하지만

보람이 뒤따를 때 그 일을 더욱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것 아니겠어요?

환자도 돌보고 우리의 전통의학도 계승하는

멋진 한의사가 되길 응원하겠습니다.

이전글 미래의 허준 선생을 꿈꾸신다면?
다음글 연말연시 증후군’을 아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