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
  • 한의학 정보
  • Korean Medicine Information

한의약상담FAQ

  • 한의학 정보
  • 한의약상담FAQ
  • “심질환 치료에서 효과적인 한약처방”
  • 날짜 : 2016-11-07 (월) 16:06l
  • 조회 : 1,197

“심질환 치료에서 효과적인 한약처방”

바로가기 http://www.internationaljournalofcardiology.com/article/S0167-5273(16)31177-9/abstract


예전부터 허혈성 심뇌혈관질환에서 한방치료는 환자의 빠른 회복과 후유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 정확한 기전이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것들이 잘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중국 광주중의약대학 및 푸단대학 연구진들은 허혈성 심질환(IHD)에 있어 내피기능의 장애로 심근의 허혈손상을 야기하는 기전에 중요한 활성산소와 그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한약의 항산화제로서의 작용 기전을 정리해 발표했다.


연구진들은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 및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다양한 한약성분들을 소개했다. 이들은 주로 단삼등에서 유래한 성분들인 Salvianolic acid B(Akt, ERK1/2/Nrf2, ROS생산 억제 및 산화물질 제거), Tanshinone IIA(산화물질 제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cryptotanshinone(NOX2, NOX4, NF-kB) 등이었다.


또한 단삼, 황기, 갈근, 당귀 등 한의학에서 허혈성 심뇌혈관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의 주약으로서 사용되는 본초들의 작용과, 실제적으로 처방되는 의약품인 단삼갈근탕, 관심2호방, 계지탕, 귤피탕, 보허화어거담음, 활혈안심방의 작용기전도 소개되었다. 연구에서는 이 외에도 인삼부자약침, 생맥약침 등 응급환자에게 널리투여되고 있는 약침처방들도 소개되었다. 


연구진들은 임상적으로 많은 한약들이 심보호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한약 성분들이 의약품으로서 사용승인을 받아 진료에 활용되고 있지만 앞으로 더 양질의 임상연구 및 표준화작업이 필요할것이라 지적했다. 


이 연구는 국제 심장학회지에 발표되었다.

이전글 “한약을 통한 대사증후군 치료 효과”
다음글 “무릎 관절증에 뜸 치료의 효과는 약물, 주사요법과 동등”